|
 |
달리면서 경험하는 찢어질 듯한 복통 |
달리기 중의 복통은 주로 오른쪽 상복부에서 나타나지만, 좌측에 나타날 수도 있으며 신체의 상지나 하지 쪽으로 뻗칠 수도 있다. 전형적인 통증의 원인은 불충분한 훈련 때문일 것이다. 그 외에도 빠른 속도의 달리기나 내리막길 달리기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복강 안에 있는 간, 비장, 위, 소장과 대장의 무게는 수 키로 그람이 되는데, 이들은 인대에 의하여 횡격막에 매달려 있다. 발바닥이 지면에 착지하면서 충격을 받을 때마다 이들은 아래로 처지게 된다. 횡격막은 호흡에 따라 아래 위로 움직인다.
가장 큰 충격은 숨을 내쉬어 폐에 공기가 없어지면 횡격막이 최대로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발이 땅에 닿을 때 내장들에 의해 횡격막이 아래로 당겨질 때 최대로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복통이 주로 오른쪽 상복부에서 나타나는 이유가 가장 큰 장기인 간이 횡격막의 우측에 붙어 있기 때문이다.
복통은 항상 늑골 바로 아래쪽에서 나타나지만, 어떤 사람들은 견갑골 아래쪽이나 어깨에서 찢어지는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어깨 통증은 심장발작이 오는 것으로 잘못 오해하게 만들기도 한다. 복통인지 심장발작인지 구별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엉덩이를 땅에 붙이고 바로 누워서 두 다리를 드는 것이다. 만약 복통이 원인이라면 통증이 즉시 사라질 것이지만, 삼장 발작인 경우는 통증이 계속될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복통을 예방하거나 나타났을 경우에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이 있다. 달리다가 복통이 나타나면 호흡방식을 바꾸는 것이다. 달리기 리듬에서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마다 통증이 나타나는 쪽의 다리가 동시에 땅을 차게 되기 때문이다.
보통 장거리 달리기에서는 발걸음과 호흡의 관계는 2:1의 주기를 가진다. 즉 숨을 한번 들이쉰 후 내쉬는 동안에 두 걸음을 간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한번 숨을 들이 쉴 때 오른 발이 착지한다면 달리는 내내 그런 주기가 반복될 것이다. 이런 발걸음과 호흡의 고정된 반복 패턴이 문제를 야기한다.
숨을 내쉬면 폐를 압박하여 공기를 내보내기 위하여 횡격막이 위로 올라가는데, 이때는 인대로 연결된 복부 장기들도 위로 순간적으로 당겨 올라갔다가 자신의 무게 때문에 다시 아래로 확 떨어지면서 인대에 긴장이 증가된다. 거기다가 같은 쪽의 발이 착지를 하게 되면 그 충격으로 다시 더 아래쪽으로 복부장기들이 처지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횡격막과 인대 사이의 긴장이 증가되면서 경련성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달리다가 늑골 아래쪽이 복통이 나타나면 발걸음과 호흡의 패턴을 바꾸는 것이 가장 좋은 도움이 된다. 일단 숨을 내쉴 때 착지하는 발을 반대편으로 바꾸고, 속도를 줄이면서 엄지는 등뒤에 대고 손가락들은 늑골 바로 아래쪽에 대고 옆구리를 꽉 쥐고 허리를 45-90도 정도 숙인 채 15m 정도를 천천히 간 후에 바로 선다. 그러면 아마도 복통이 사라질 것이다. 이렇게 해도 없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엉덩이를 아래로 하여 길에 누워서 다리를 들어 올리면 즉시 통증이 사라진다.
항상 즐겁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되시길 빕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