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리기의 기능 |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신체와 마음은 항상 서로에 대한 인식을 잘하고 있다. 마음이 불안한가? 근육통이 있는가? 전체적인 컨디션이 보통이상인가? 등의 이런 자연스러운 인식 패턴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닌 신체나 마음 양쪽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다.
우리 몸이나 마음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서로에게 특정한 상황에서의 자신의 상태에 따른 알맞은 정보를 전달하고 또 이를 접수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거쳐 이해를 하게 된다. '몸이 하는 소리를 들어라!"는 경구처럼 신체나 마음이 서로에게 보낸 신호가 적절하게 이해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서로에 대한 집중'이다. 이는 상대방에게 호감을 가진 두 남여가 서로의 관심사나 일들에 대한 집중을 통하여 애인사이로 나아가는 과정과 흡사하다.
신체가 보내는 사인을 '집중'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마음은 그 신호를 무시하거나 접수하여 다음 행동의 변화에 반영하게 된다.
그렇다면 달리기가 우리에게 주는 신호는 무엇일까? 어떤 목적 때문에 달리는가? 목표달성을 위해 달리기를 하는 것인가? 즉 달리기의 기능은 무엇인가?
첫째, 달리기의 가장 평범한 기능은 개인의 건강을 위한 가장 원초적인 운동이라는 것이다. 인간은 원시시대부터 사냥, 도망 등 생존을 위해 빠른 달리기는 필수적이었으며, 현재에도 언제 어디서나 특별한 의복이나 장소등의 준비없이 혼자서라도 몰입할 수 있는 운동이 달리기임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둘째, 자신의 행동을 감독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다. 달리기를 위해서는 기꺼이 담배를 끊고, 술을 절제하며, 지나친 약속을 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조금더 좋은 성적을 위해서는 자기보다 나은 주자들의 달리는 모습이나 생활을 관찰하여 필요한 자세변화나 여러가지 훈련도 마다하지 않게 된다.
셋째, 정보전달의 기능이 있다. 달리기는 개인적이나 사회적인 생활에 필수적이며, 대회를 준비하는과정에서의 훈련증감법, 칼로리 공급을 위한 영양섭취법, 대회나 훈련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이나 압박을 해소하기 위한 심리요법, 만족스러운 대회에서의 완주를 위한 전략에 대한 설명, 부상예방에 대한 여러가지 지침등 지속적인 정보의 전달과 이해의 필요성을 제공한다.
넷째, 심리적이나 신체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기능이다. 중간 강도의 달리기에 집중할 경우 20분 전후에 경험하는 러너스 하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일상 생활에서 오는 정신적 충격, 신체적 고통, 분노 등 내적인 현실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나 느낌을 감소시키거나 희석시킬 수가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신체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역경을 이기며 마라톤을 완주하는 것을 보는 것으로도 자신이 처한 어려움을 더 쉽게 이길 수 있는 힘을 얻게 되기도 한다.
다섯째,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기능이 있다. 달리기는 자신만을 위한 극히 개인적인 운동이지만, 같은 동호인들과의 폭넓은 교류나 정보교환을 통하여 고립이나 고독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달리기는 신체적인 움직임을 주로하는 운동이지만 동반주하는 동호인들과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기쁨도 가능하게 한다.
자기가 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달리기에서도 응용할 수가 있는데, 봉사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페이스 메이커' , 달리는 의사들의 '레이스 패트롤', 은퇴한 엘리트 선수들의 마스터스 주자들을 위한 자문과 교육등이 있다.
항상 즐겁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되시길 빕니다. 지구사랑 달리기 클럽/달리는 의사들 이동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