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이동윤  작성일 2002.09.26  
 첨부파일

조직에서 정직의 의미는 무엇인가?

서울마라톤 클럽은 우리나라 마스터스 마라톤 문화를 선도해 왔으며, 지금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다른 우수한 클럽들과 마찬가지로 마라톤에 대한 애정이 넘쳐나는 여러 회원들이 각종 마라톤 대회에서 봉사와 배려를 몸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마라톤 클럽의 클럽문화의 정체성은 어떤 것일까요?
서울마라톤 클럽의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느 정도 투명할까요?
클럽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혹은 사정상 그렇지 못한 우리 회원들이 클럽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해 다같이 한번 생각해보고자 하는 의미에서 이 글을 씁니다.

조직에서의 정직은 '투명하고 깨끗함'의 의미를 넘어 '문제 자체를 인정하고, 그 문제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고,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통상 조직의 당면 현안과 관련하여 조직 구성원이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각자의 주장이 옳은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어느 쪽도 자신이 잘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제약회사 엘리 릴리(Eli Lilly)의 자회사에서 의료기 제조회사인 가이당(Guidant)의 사업부문으로 합병된 ACS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의 CEO를 역임했던 그라햄회장은 ACS의 훌륭한 경영성과의 근본이유가 조직이 더욱 정직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라햄 회장은 현안과 관련된 과정을 전면 백지화시키고, 각 관련 당사자들로 하여금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의사결정의 모든 과정을 전면 재검토하여 완전히 새로운 결정과정을 설계하도록 하였다.
"공개적으로 회사의 모든 문제들을 잔인할 정도로 까발려 거론하고, 그 문제들을 우리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우리 회사는 더욱 강하고 민첩해졌으며 의지는 더욱 굳건해졌다. 정직을 더욱 편하게 받아들이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내외의 변화에 더욱 빠르게 대응하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조직 전체가 공개적이고 정직한 커뮤니케이션을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조직문화를 창조하는 것은 오랜 시간과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그런 양화가 악화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정직한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자신의 업무성과에 대한 진실한 평가를 듣기 어려워하는 사람이나 자신의 실수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지 못하는 사람, 혹은 조직원들에게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는 임원들처럼 정직하지 못한 사람들은 결국 자신의 뜻에 따라 스스로 조직을 떠나게 된다.

조직의 정직성을 높이는 다른 중요 요소는 최고 리더가 조직 피라미드의 최하단에 위치한 조직원들로부터 멀어질수록 조직의 효율성과 정직성은 떨어지게 되므로 하부 조직원들이 스스럼없이 최고 리더에 접근하여 편하게 직언을 할 수 있는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런 조직의 정직성은 사실 국가의 정직성, 정치인의 정직성, 사회 전체의 정직성이 향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다고 본다. 최고 리더는 비자금을 만들고, 중간 간부들은 뇌물을 요구하고, 하부에서는 향응을 못 이기는 사회에서 어떻게 정직이란 단어가 제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인가?

항상 자신이 그 조직을 처음 접했을 때의 초발심을 잊지않고 사람답게 보고, 사람답게 생각하고, 사람답게 행동할 때 정직하고 투명한 조직이 가능한 것이다. 자신을 튀게 강조하거나 나타낼려고 하지말고 "여설수행(如說修行)", 즉 부처님 말씀대로만 따라 수행하면 올바른 중이 되는 이치가 바로 정직한 조직을 만드는 지름길이다.


항상 즐겁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되시길 빕니다.


목록보기     프린트

다음글 :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이전글 : 타성과 아름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