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중앙]피할 수 없는 송년회 술자리
송년회 시즌은 이미 시작됐다. 웬만한 모임은 제치더라도 매주 한두건은 기본. 오랜만에 보고 싶은 정다운 얼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술 때문에 참석이 망설여진다. 술을 좋아하고 주량이 센 사람은 모르지만, 술이 약하거나 건강에 자신없는 사람은 두려움이 앞선다. 분위기에 휩쓸려 자신의 주량을 넘겼다간 후유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과음은 간 질환은 물론 암이나 뇌혈관 질환을 증가시키고 췌장 질환의 원인이 된다. 더욱이 영양 결핍으로 인한 신체기능 장애를 가져오고, 면역기능을 약화시킨다. '사람'을 잃지 않으려다 건강을 잃을 수가 있다.

◇물을 많이 마셔라= 술자리가 있는 날은 아침부터 물을 많이 마시자. 물은 알코올 흡수를 지연시키고 배뇨량을 늘려 '덜 취하고 빨리 깨게'하는 효과가 있다.

체내에 수분을 많이 축적시켜 놓는 게 상책이다. 간 보호에는 오가피차가 특히 좋다. 결명자차·진피차·구기자차 등도 숙취 예방 효과가 있다. 알려진 것과 달리 우유를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 위점막 보호 효과는 순간이고 위를 더욱 산성화시켜 별 도움이 안 된다.

공복으로 갈 경우 폭식과 폭음을 하게 되므로 모임 날은 점심 식사를 절대 거르지 말고 충분히 먹어라. 시중에 나와있는 숙취예방음료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니 마시고 가는 것을 권한다.

◇술은 즐기며 마셔라= 과음을 막기 위해선 즐겁게 대화하며 천천히 마셔야 한다.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자리면 틈틈이 노래를 부르고 춤도 춰가며 마셔라. 그러면 뇌세포로 가는 알코올 양이 훨씬 적어진다. 폭탄주 '원샷' 은 금물.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급격히 높여 급성 알코올 중독을 부를 수 있다. 참석자가 일제히 마시는 '위하여!'도 적을수록 좋다.

안주 없이 마시는 술은 무조건 몸에 해롭다. 부드러운 유동식을 섭취해 위벽과 간을 보호하고 알코올 흡수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식사 전 위스키 등 독주를 한 번에 들이키는 것은 자칫 위 점막을 손상시켜 위염이나 위궤양, 심하면 위천공(위벽에 구멍이 뚫림)을 일으킬 수 있다.

술 안주로는 저지방 고단백 음식이 제격이다. 충분한 단백질 섭취는 간이 알코올을 해독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이 된다. 콩이나 두부·치즈·육고기·생선 등 저지방 고단백 음식이 안주로 좋다. 동물성 단백질만 섭취하면 아미노산의 균형이 깨져 효과가 반감되므로 식물성 단백질과 조화를 이룬 음식을 안주로 먹어라. 갈증을 유발해 술을 더 마시게 하는 짠 안주나 위를 자극하는 매운 안주는 피해야 한다.

채소와 과일도 안주로 적합하다. 배는 소화효소가 들어있어 다른 안주를 잘 소화시키고 알코올을 중화시켜준다. 감의 타닌성분은 알코올 흡수를 지연시킨다. 배추나물과 도라지·고사리·시금치 나물은 속을 편하게 해준다.

◇내 주량을 잊지마라= 주량은 자신이 마실 수 있는 최대 음주량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건강을 지키며 평상심을 잃지 않고 마실수 있는 술의 양을 말한다. 송년회 자리의 술은 즐거운 대화를 이끌어 내는 수단일 뿐이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간도 보호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선 하루 50g이상의 알코올을 섭취해선 안된다. 이에 해당되는 술의 양은 맥주 1500㏄(7.5잔), 위스키 156㏄(5.2잔), 소주 250㏄(5잔) 정도다.

술자리 담배는 독약과 같다. 담배는 체내 알코올 흡수를 돕고, 또 알코올은 체내 니코틴 흡수를 촉진시킨다. 술과 담배는 이렇게 서로 '나쁜 것'만 돕는다.

프리미엄 조한필 기자 chopi@joongang.co.kr
다음글 : 비만 여성, 식이요법보다 운동해야 건강
이전글 : 비만 전문 의사는 과연 어떻게 살을 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