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살 남자아이를 둔 주부 박주은씨(가명,35)는 요즘 아이가 별다른 이유도 없이 다리 통증을 호소해 병원을 찾았다. 박씨는 “아이 다리에 아무 염증도, 부종도 없는데 아이가 자꾸 무릎 쪽이 아프다고 한다”며 “눈에 증상이 보이지 않으니 아이가 큰 병에 걸린건 아닌지 겁난다”며 우려했다.
전문의는 박씨의 아이가 태권도를 배우고 있는 상황에 착안, 이로 인해 겪고 있는 성장통이라 진단했다. 다리근육이 약한 아이가 무리하게 운동하거나 오래 서 있는 경우, 특히 운동회나 태권도와 같은 체육활동 등 심한 육체적인 활동 후에 발생 하는 성장통이라는 것.
◇아이들 건강에 이상있다는 몸의 신호!
성장통은 주로 4~10세 어린이들의 약 10∼20%가 경험하고 여자아이보다 활동성이 많은 남자아이에게서 더 흔하다. 일반적인 성장통은 대개 1~2년 지나면 사라진다. 강남 박달나무 한의원 장통영 원장은 “성장통은 대체로 성장기에 지나치게 활동과 운동이 많은 아이에게서 잘 나타난다”며 “이는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잘 커야하는데 그렇지 못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고 전했다.
본래 비위기능이 허약해서 영양섭취와 흡수가 덜 되는 아이는 팔, 다리로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못해서 아프게 된다는 것. 특히 장 원장은 “감기나 감염 또는 정서적으로 편치 않은 후에 제대로 먹지 않을 때 흔히 일어난다”면서 “비뚤어진 턱관절과 불 안정된 발 구조, 척추의 구조 이상 등도 흔히 근육의 통증을 일으킨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성장통은 ‘키가 자랄려고 오는 통증이다’기 보다는 ‘자라나려 하는데 몸이 안좋아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해석하는 게 맞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흔히 말하는 키 성장은 우리 몸의 뼈의 길이가 길어지고 두꺼워지면서 전체적으로 몸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성장통은 뼈의 성장이 빨라지는 시기에 무릎 부근 뼈에 붙은 힘줄이나 근육이 뼈의 성장속도에 못 미쳐 근육과 힘줄이 당김으로써 나타나고, 뼈를 싸고 있는 골막이 늘어나면서 주위 신경을 자극해 통증이 생길 수 있다.
◇영양섭취 골고루, 근육에 무리는 피해야
대개 성장통을 겪고 있는 아이들은 밤에 잠잘 때 아픔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사랑이 꽃피는 한의원 김주회 원장은 “밤에 주로 아픈 이유는 밤이 되면 몸이 휴식하는 시간이므로 젖산과 같은 피로물질의 배출이 덜 일어나고 부신 등 호르몬의 분비량이 줄어들어 통증에 대한 역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김 원장은 “무엇보다 충분한 영양섭취를 하도록 하고, 하루에 2번 정도 스트레칭을 하면 통증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성장통은 활동량이 많은 날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근육에 무리를 주는 일은 피한다. 이에 김 원장은 “만약 무리를 한 날에는 아이가 잠들기 전에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해 피로를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돕는 것이 통증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인스턴트나 가공 식품은 피하고 근육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단백질, 칼슘, 아연,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등이 충분히 들어간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김 원장에 따르면 영양이 부족한 아이는 동물성 단백질 및 조개, 생선과 필수지방의 섭취를 늘리고, 활동이 지나친 아이는 피로회복에 빠른 구연산이 많은 매실 오미자 엑기스나 과일 등으로 적당한 당질영양소를 공급해 주는게 좋다.
한편, 아이의 통증이 저녁뿐 아니라 낮에도 있으면서 3주 이상 계속될 때와 관절을 잘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입맛을 잃고 피곤해하는 경우, 몸에 열이 나는 경우, 통증이 일어난 부위의 피부색깔이 변하는 경우에는 다른 질병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