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김연아 선수를 통해 본 `겨울 운동과 허리건강



추위 속 무리한 운동은 삼가야..
하이힐도 스케이트와 비슷한 원리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트의 우상인 김연아  선수가 최근 허리 디스크 초기 판정을 받으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지난해 시니어 그랑프리 대회에서도 허리에 테이핑을 붙인 채 아픔을 견디며 1위를 획득했던 김연아 선수는 이번 허리 디스크 초기 판정으로 당분간 재활치료와 물리치료가 불가피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를 바라보는 척추관절 전문의들은 한결 같이 김 선수가 빙판의 추위와 날카로운 단면의 스케이트, 허리를 꼬는 스핀 및 점프 등 허리 건강을 해치는 ‘3악(惡)’에 노출돼 있었다“고 입을 모은다. 다시 말해 김연아도 많은 스케이트 선수들이‘직업병’처럼 갖게 되는 허리병을 피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김연아 선수의 부상은 스케이트 마니아들과 다양한 겨울철 스포츠를  즐기는 모든 사람들에게도 경종을 올리고 있다. 스케이트를 비롯한  겨울철  스포츠가 허리 건강을 해치는 원인과 이를 지키는 예방에 대해 살펴본다.



◇ 날카로운 스케이트 날로 반복한 점프와 착지가 큰 충격 줘

김연아 선수의 주특기는 ‘트리플-트리플 콤비네이션’이다. 말 그대로 점프해서 3회전하는 동작을 2번 연속으로 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10명 내외만이 할 수 있는 고난도  기술이라고 일컬어지지만 첫 점프 뒤 착지한 발로 다시 두 번째 점프를 해야 하는 이 기술은 김 선수의 허리 부상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을 것으로 전문의들은 보고 있다.



이는 일반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평소 농구나 배구 등 운동 중 점프를 한 후 허리가 아프다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높이 뛰고 착지하면서 받는  충격이  그대로 척추에 무리를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의 경우 무리한 점프는 금물이며  점프 전 가벼운 준비운동은 필수다.



척추관절전문 조은병원 신경외과 배장호 원장은 ”점프해서 발바닥으로 착지하는 순간 무거운 몸의 하중을 견디게 되는데 높은 점프를 한 후 스케이트의  얇은  날로 서야 하는 스케이트 선수는 일반인보다 최소2.5배 이상의 하중 및 충격을 견뎌야 한다“고 설명했다.



배 원장은 ”이는 일상생활 속에 하이힐을 즐겨 신는 여성들에게도 해당하는 것“이라며 ”하이힐의 경우 몸이 앞으로 쏠리면서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반복적, 지속적으로 신게 되면 허리 건강에 매우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추위 속 운동, 허리 근육 위축시켜 큰 부상 부를 수도

스케이트나  스키처럼 얼음 또는 눈 위에서 하는 운동은 낮은 온도가 지속되기 때문에  위축된  근육이 풀리지 않아 더 큰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 충분한 준비운동과 마무리 운동으로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는 게 중요하다. 또한 벼락치기 운동도 금물이다. 운동을 할 때는 약한 강도에서  시작해 점차 강도를 올리는 게 부상을 막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추운 날씨 속에서도 운동을 즐기는 경우가 많은데 갑작스러운  달리기나 무리한 운동은 흔히 ‘삐끗했다’는 염좌를 일으키기 쉽다. 이에 따라 달리기 보다는 오래 빨리 걷기가 바람직하며 평소 허리 건강에 자신이 없다면 나무에 등을 치거나 허리는 비트는 등의 무리한 운동은 삼가야 한다.



또한 달리기나 걷기 등에서 문제가 되는 점프 및 착지는 보이지 않게 허리에 충격을 줄 수 있어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때문에 실생활에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폭을 작고 일정하게 하는 게 좋고, 발 뒤꿈치를 먼저 디딘 다음 발 앞  부분으로 차고 나가는 보행법이 좋다. 발전체로 착지하면 충격이 곧바로 허리로 몰리면서 심한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운동 중에도 덥다고 함부로 옷을 벗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몸의 온도를 급격히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두꺼운 옷 한 벌 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개 겹쳐 몸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모자와 장갑은 보온과 보호 두 가지의 효과가 있는 만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 ‘허리 디스크 탈출증’은 생활 습관에서 예방이 중요 = 김연아  선수가  겪고 있는 허리 디스크 탈출증은 초기에 스스로 느껴지는 불편이 거의 없고 느리게  진행돼 쉽게 지나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어느 정도 병이 진행되면 요통과 함께 다리에도 심한 통증이 온다.



통증의 주된 원인은 척수신경이 압박을 받아 붓거나 빨갛게 되는 염증성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김연아 선수처럼 다리 통증보다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는 튀어나온 디스크가 심하지 않아 척추 줄기 신경만 압박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이런 디스크 탈출증이 일반인에게도 증가하는 추세다. 대부분의  원인은 일상생활에서의 나쁜 자세와 습관, 무리한 운동, 사고와 같은 충격 때문이다. 또한 비만이나 흡연, 오랜 시간 운전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평소 생활 습관을 통해 허리 디스크 탈출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 도움말 : 척추관절전문 조은병원 배장호 원장
/ 서울=연합뉴스

다음글 : [중앙]`데이트 폭력` 한번 손찌검, 두번 세
이전글 : '악몽' 자주 꾸면 '자살' 자주 시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