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 목 : `男-소변할 때, 女-대변할 때 실신 많아` |
남자는 소변을 볼 때, 여자는 대변을 볼 때에 상대적으로 더 실신을 많이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김준수ㆍ박정왜 간호사팀은 1995년부터 2006년까지 '심장신경성 실신'으로 진단된 1천51명의 환자를 조사한 결과 남자의 경우 '배뇨성 실신'과 '배변성 실신'이 나타난 환자의 비율이 각각 20.3%와 9.3%인 반면 여자는 5.2%와 16.3%로 남녀간에 특정상황에서 기절이 발생하는 상대적인 빈도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심장신경성 실신은 가장 흔한 실신 형태로서 심장신경성 실신은 소변이나 대변을 볼 때, 음식을 삼킬 때, 기침할 때 등 특정상황에서 발생하는 실신과 혈관미주신경성 실신, 경동맥동 실신의 세 가지로 나뉜다. 원인 부위에 차이는 있지만 모두 자율신경계가 과도하게 흥분했을 때 더 이상의 자극을 차단하기 위해 인체가 실신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일상생활에서는 움직이지 않고 오래 동안 서 있거나 변비로 힘을 계속 주는 경우, 힘든 운동을 한 직후,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에 발생한다. 심장신경성 실신 외에 심장질환이나 신경계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실신도 있다.
이번 조사결과 배뇨ㆍ배변을 제외한 다른 실신 상황에 대해서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 실신 증상이 계속된 평균기간은 남녀가 각각 6.8년과 8.2년이었으며 평균 실신 회수는 남녀가 각각 5회와 7.2회로 여자가 남자보다 더 오랜 기간 많은 회수를 실신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김준수 교수는 “실신은 관동맥질환, 비후성 심근증, 심부전, 심실빈맥환자에게 치명적인 돌연사의 예고일 수 있으며, 실신 환자 중 20% 정도에서는 실신 당시 넘어지며 심한 외상을 입을 수 있고, 운전 중 실신이 발생하면 중대한 교통사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신이 있으면 병원을 찾아 원인을 밝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실신환자 중 ▲심장병(협심증, 심근경색증, 비후성 심근증, 확장성 심근증, 대동맥판 협착증, 심부전)을 앓고 있거나 ▲가족력상 돌연사 병력이 있거나 ▲실신 직전까지 아무런 사전 증상 없이 바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거나 ▲실신 당시 환자 얼굴이 시퍼렇게 되거나 ▲사지 경직, 경련을 일으키고, 저절로 대소변을 보거나 ▲의식 회복 후에도 금방 주위 사람을 잘 알아보지 못하는 경우엔 심각한 부정맥으로 의심하고 지체 말고 심장내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의료진은 당부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덴버에서 개최된 '심장 리듬(Heart Rhythm)' 학회에서 발표됐다. (서울=연합뉴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