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jrigjwwe9r3edt_lecture:conts 행동 관리의 병합요법 : 무작위대조군시험
연구배경 알쯔하이머병을 가진 환자에서 그들의 보호자들에게 행동문제를 다루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과 동반하여 환자들에게 운동 훈련을 시키는 것이 환자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나약함과 행동 장애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 목적 알쯔하이머 환자들에서 가정 기반 운동 프로그램과 병행한 보호자 행동 관리 기법 훈련이 기능적 의존도를 줄이고 수용시설에 들어가는 것을 지연시키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디자인, 환경, 대상자 알쯔하이머 병에 대한 진단기준(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eases and Stroke/Alzheimer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ssociation criteria)을 만족하는 지역사회 거주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1994년 6월 부터 1999년 4월 사이에 무작위대조군시험을 시행하였다.
중재 환자-보호자 단위로 운동과 보호자 훈련 프로그램인 알쯔하이머 장애 감소(Reducing Disablility in Alzheimer Disease, RDAD)와 정규의학적치료(Routine Medical care, RMC)를 병용하여 무작위 배정하였다. RDAD 프로그램은 3개월에 걸쳐 환자의 가정에서 시행되었다.
주요 결과 변수 신체적 건강 및 기능(36개의 간단한 건강 조사 형태[SF-36]의 신체적 기능 및 신체적 역할 기능 세부 등급 및 질병 영향 측면의 운동성 세부 등급), 감정 상태(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nd Cornell Depression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연구결과 3개월째에 RMC 환자보다 더 많은 RDAD군의 환자들이 최소 주당 60분 이상 운동하였고(오즈비 2.82; 95% 신뢰구간, 1.25-6.39; P=.01), 활동 제한 일수가 더 적었다(오즈비 3.10; 95% 신뢰구간, 1.08-8.95; P<0.001). 또한 RDAD 군의 환자는 RMC 군의 환자에서 더 나쁜 점수를 가지는 것에 비해 신체 역할 기능 점수가 향상되었다(평균차, 19.29; 95% 신뢰구간, 8.75-29.83; P<.001). RDAD 군 환자는 Cornell Depression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scores 가 향상된 반면 RMC군의 환자들은 더 나쁜 점수를 나타냈다(평균차, -1.03; 95% 신뢰구간, -0.17 ~ -1.91; P = .02). 2년 째에 RDAD 환자들은 RMC 환자들보다 지속적으로 신체적 역할 기능 점수가 더 좋았으며(평균차, 10.89; 95% 신뢰구간, 3.62-18.16; P = .003), 행동 장애 때문에 수용되는 경우가 더 적은 경향을 보였다 (19% 대 50%). 처음에 우울 점수가 높았던 환자에 대해, RDAD 군에서는 3개월 후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이 더욱 향상되었으며(평균차, 2.21; 95% 신뢰구간, 0.22-4.20; P = .04), 24개월째 향상이 지소되었다(평균차, 2.14; 95% 신뢰구간, 0.14 ~ 4.17; P = .04).
결론 운동 훈련과 보호자 행동 관리 기법 병행교육은 알쯔하이머병 환자에서 신체적 건강과 우울증을 향상시켰다.
출처 Linda Teri; Laura E. Gibbons; Susan M. McCurry; Rebecca G. Logsdon; David M. Buchner; William E. Barlow; Walter A. Kukull; Andrea Z. LaCroix; Wayne McCormick; Eric B. Larson. Exercise Plus Behavioral Management in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3;290:2015-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