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 성 일 : 2023.02.01 + 작 성 자 : 이동윤
+ 제     목 : 비효율적 달리기나 걷기가 결국 그것의 발목을 잡게 된다
+ 파일첨부 :

속보 걷기를 너무 좋아하는데, 장경인대로 고생하신다는 분을 만났다. 일상의 삶에는 뭐든 지금 하려는 마음과 그에 맞는 신체적 자세가 중요하다. 적절한 자세를 취하지 않거나 준비가 덜되어 있다면 과정은 비효율적이고, 결과 또한 만족스럽지 않을 것임은 뻔하다.

몸을 움직이는 운동은 더하다. 조금만 기술적으로 집중하지 않으면 다양한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진료실에서 자주 보는 일자목이나 거북목, 또는 일자허리를 가진 사람들이 호소하는 고통의 원인이 바로 그런 자세 불량에서 오는 것이다.

자신이 친 타구를 안타로 만들기 위해 전력 질주하는 야구 선수들은 대부분 상체를 앞으로 굽히고 있지만, 세계적 단거리 주자일수록 탄탄한 허벅지 근육과 수직적 착지 모습이 선명하게 대비된다. 그런 자세 때문에 허리와 목, 어깨의 부상이 잦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주자들이 실수하는 가장 큰 두 가지가 바로 뒤꿈치 착지로 발, 발목, 무릎, 다리, 엉덩이 등 하체에 과도한 회전을 가져오며 이들이 브레이크로 작용해 전방 추진력을 방해하며, 이를 무릅쓰고 나아가기 위해 너무 많은 힘을 쓰는 것이다.

이런 자세 때문에 한 걸을 내디딜 때마다 수직 진동을 과하게 불러일으키고, 이것이 비효율성과 함께 전신에 충격과 회전, 그리고 임줄의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뒤꿈치 착지를 하게 되면,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얻기 위해 매 보폭이 과도하게 커진다. ㅜ

그 결과 발목이 중간에서 제 역할을 제대로 못하게 되고, 과도한 회전력을 유발하게 되고, 발목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흐느적거리며 발목 아래쪽과 허벅지 위쪽, 그리고 바깥쪽으로 흔들리며 척추까지도 움직이게 만든다.

이런 상황에 접하게 되면 우리 몸은 발부터 시작해서 근육 조직과 관절, 다양한 부위의 근육이 몸 전체의 과도한 회전에 따른 흔들림 때문에 뒤꿈치, 무릎, 엉덩이, 등 하부에 과도한 충격을 전달해서 부상의 위험에 노출된다.

뒤꿈치를 과도하게 내디디며 달리면서 추진력을 내게 되면 다시 그 추진력을 얻기 위해 훨씬 더 많은 근력을 사용해야 한다. 뒤꿈치를 내디딜 때마다 상체는 몸의 중심 뒤로 과도하게 젖혀지게 되고, 상체를 다시 앞으로 밀어내기 위해 발바닥 중간의 균형이 깨어진다.

그 결과 뒤꿈치 착지에서 발가락이 지면을 뒤로 밀어내는 보폭의 중간 단계에 이르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된다. 그 결과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근력을 사용해 앞으로 밀어내야 한다. 마치 단거리 선수들처럼 짧은 시간에 발가락에 힘을 주어 밀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준비되지 않은 장거리 주자가 단거리 선수처럼 발가락에 힘을 주어 내달리게 되면, 종라이 근육이나 슬굴곡근(햄스트링) 같은 추진력을 내는 근육들 및 종아리, 발목, 발을 연결하는 아킬레스 건이나 발바닥 근막 같은 연결 조직에 부담을 가하게 된다.

이 두 실수가 복함되면서 정강이 통증, 족저근막염, 아킬레스 건염,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 슬개대퇴 통증 같은 부상이 발생한다. 이런 부상이 즐겁고 건강한 활동이 되어야 하는 달리기를 싫어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만다.

오늘도 흥겹고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만들어 가시길 빕니다. 이동윤 드림

다음글 : 두뇌 발달을 제대로 이해하면 육체적 질병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전글 : 새해 운동 계획이 작심삼일이 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