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 성 일 : 2020.07.10 + 작 성 자 : 관리자
+ 제     목 : 충족하지 못하는 욕망이 모든 불행의 어머니이다
+ 파일첨부 :

세상에 태어나 부모와 스승들, 그리고 주위 사람들은 나에게 모든 것을 베풀어 주었지만, 나에게는 드릴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많은 사람들은 돈을 생각하지만, 나의 부모님들은 내가 제대로 보답해 드리기도 전에 모두 돌아가셨고, 다른 사람들도 헤어지면 못 만났다.

나이들어 한 곳에 정착하여 삶이 안정되면서는 다시 또 일상의 내 삶에 빠져 살게 되니 만날 수 없게 되어 생각한 것이 국가 미래인 소아암 환자들을 돕는 일이었다. 소아암의 완치율은 7,80%인데, 가정이 단단해야 미래가 탄탄해질 수 있다는 생각에.

정욕과 탐욕은 결코 만족을 주지 못한다. 욕망이라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부풀어 올라 마침내는 불행의 늪이 되고 마는 법이다. 이런 무지가 절이나 교회에 가서 삼배나 예배를 드리거나 설볍이나 의식을 치른다고 새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인류가 세상에 나타난 이후 수많은 시간을 사람들은 자신의 욕망을 채워 왔지만, 아직도 여전히 불행하다. 궁극의 실재적 본질에 도달하려면 비본질적인 것에 대한 욕망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 필요 이상의 소유는 스스로 장애를 만들어 내는 일이다.

특히나 그런 일은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일이다. 꼭 필요한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가지고 싶은 욕망만을 충족하려 할 때 우리는 누구라도 깨달음의 길에서 멀어진다. 욕망은 가히 모든 불행의 어머니라 할 수 있다.

눈 깜짝할 순간 사라지는 세속적인 것을 욕망을 얻기 위한 욕망을 자기 인식을 위한 것으로 돌릴 때, 욕망은 깨달음의 도구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망은 장애가 아니라 오히려 자기실현의 도구로 변하게 된다.

촛불은 산들바람만 불어도 꺼져 버리지만, 촛불을 꺼지지 않도록 잘 다루고 관리하여 숲에 불을 붙이면 산불이 될 수 있다. 그 때는 바람이 불을 끄는 역할이 아니라 오히려 더 큰 불로 타오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의 삶도 이와 같아서 수행자가 자신의 노력을 통해 욕망의 불을 알맞게 지펴 나가면 그 불은 점점 자라나 크나큰 에너지로 변한다. 모든 어려움과 아픔은 장애가 되는 대신 성장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인생 여정을 헤쳐가는 일상의 길에서 장애가 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도 사실은 장애가 아니라는 말이다. 나 자신의 약점이나 가치관 같은 것을 세상의 다른 대상에게 투영하여 스스로 장애를 만들어 내는 것일 뿐이다

집착은 우리 스스로 만들어 내는 가장 큰 장애 중의 하나다. 그러므로 집착만 완전히 버릴 수 있다면 그런 일상의 장애들을 극복해 내기가 쉬워진다. 집착할 대상을 만들지 말고, 모든 대상을 가지되 좋은 세상으로 만드는 도구로 사용하며, 극복하고 세상에 맡겨 버리는 것이다.

오늘도 흥겹고 행복한 하루 만들어 가시길 빕니다. 이동윤 드림

다음글 : [5귀절 반야심경 26] 불구부정(不垢不淨):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다 : 부처의 마
이전글 : 비본질적인 것을 떨쳐버릴수록 삶이 더 행복하고 풍부해진다